2025년 소상공인 정부 지원 예산은 약 5.4조 원
대표님들~~ 받을 수 있는 혜택 꼼꼼히 챙겨가세요!
경영부담 완화 정책 4종세트-3
배달·택배비 지원 사업!
소상공인들의 사업 지속과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
소상공인의 필수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실효적 대책!
🌏 배달·택배비 월별 신청 → 자금 확보 → 경영 여력 강화!
신속지급의 자동 처리와 확인지급의 포괄적 지원 방식!
1. 지원 대상 및 조건
• 소상공인 기본법 등록 사업자: 업종은 음식점, 소매, 제조, 서비스 등 전 업종(배달·택배 주업 제외)
• 매출 기준: 2023년 또는 2024년 연매출이 1억4백만 원 미만
• 이용 실적: 2024.1~2025. 신청 전까지 배달 또는 택배 활용 실적 보유
• 사업 상태: 신청일 기준 영업 중 (폐업·휴업 사업자 제외)
• 1인 1사업체: 다수 사업장 운영 시라도 1개 사업체만 신청 가능
2. 혜택 및 지원 내용
• 지원 한도: 최대 30만 원
• 기존: 배달비 50건→2,000원/건, 택배비 100건→3,000원/건 (합산 30만원)
• 일부 변형: 월 배달비 최대 50만 원, 택배비 30만 원 (예산 및 지자체별 차이 존재)
• 2025년 예산 운영: 약 1,200억 원, 약 24만 사업체 대상
3. 사용 방법 및 기한
• 지원 방식
• 신속지급: 배달의민족·요기요·쿠팡이츠 등 6개 플랫폼 전산 연동 → 별도 서류 없이 자동 지급
• 확인지급: 신속지급 제외자 대상 → 전자세금계산서, 카드영수증, 택배 운송장 등 증빙 필요
• 직접 배달도 1건당 5,000원 기준으로 확인지급 대상에 포함
• 지원 시점:
• 신속지급 → 신청 후 1~2주 이내
• 확인지급 → 서류검토 후 3~4주 소요
• 기한:
• 2025년 2월 중순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상시 신청 가능이며, 월별 실적은 매월 말일까지 신청 필요
4. 신청 방법 및 절차
1) 온라인 접속
• ‘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.kr’ 또는 소상공인24 웹사이트 접속
2) 본인 인증: 공동인증서 또는 휴대폰 인증
3) 지원 방식 선택 및 정보 입력
• 신속지급: 사업자번호 입력하면 자동 실적 연동
• 확인지급: 필요 증빙자료(전자세금계산서, 운송장 등) 업로드
4) 신청서 제출 → 접수 확인
5) 검토 및 심사
• 신속지급: 자동 처리, 확인지급: 제출 서류 검토 및 현장 확인 가능
6) 지급:
• 신속지급: 1~2주 후 계좌 입금
• 확인지급: 3~4주 후 계좌 입금
• 오프라인 신청도 가능: 전국 77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 방문 접수
• 필요 서류:
• 신속지급: 없음
• 확인지급: 사업자등록증, 통장사본, 배달·택배 내역 증빙, 매출 증빙
👉 지역별 소상공인 택배 지원금 비교 분석
📋 정책 의의 및 기대 효과
• 경영 부담 경감: 고정비용인 배달·택배비 부담을 월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 → 자금 여력 확보
• 비대면 소비 대응력 강화: 온라인 주문 등 필수 채널의 비용 부담을 낮춰 디지털 전환을 촉진
• 행정 간소화: 신속지급 자동 처리로 신속·간편한 행정, 확인지급도 최소 서류로 가능
• 형평성 유지: 물류 및 배달비 증가에 따른 모든 소상공인 대상 지원 → 실질적 경기 대응 효과